취미는 독서/책읽기

만족하는 직업 찾기 프로젝트 - 인생학교 일, 로먼 크르즈나릭

멀랜다 2018. 1. 23. 18:53
반응형


만족하는 직업 찾기 프로젝트


아침 해가 뜬다. 아니, 아직 해가 뜨기 전이다. 아침 해가 뜨기 전 일어나서 세수하고, 아침을 거르고 겨우 버스와 전철에 몸을 싣고 어디론가 나선다. 


그 어디론가가 인천공항이라면 버스, 전철을 타는 행동에 '겨우'라는 부사는 있지도 않았을 것이다. 눈을 겨우 떴더라도, 심지어 세수를 하지 못하고 급하게 집을 나섰더라도 감정은 이미 충만함에 이르렀을 테니까 말이다.


겨우 나선 그 어디는 바로 직장이다. 겨우 하루를 시작하고, 겨우 하루를 마감하고, 또 겨우 겨우 또 다른 하루를 살아가는 삶, 이게 우리 직장인 대부분의 삶이다.


우리는 왜 이렇게 직장에서의 일이 힘든걸까? 또 왜 우리가 선택한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걸까?


겨우 하루를 살아내는 우리는 몸에 맞지 않은 꽉 낀 옷을 입고 사는 사람이다. 사회적인 기준에 따라 직업을 선택한 우리, 세상을 알기엔 너무 이른 나이, 학교를 갓 졸업한 나이에 직업을 선택한 우리는 맞지 않은 옷을 입고 '겨우' 살아가는 사람이다.


이런 우리에겐 새로운 직업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두 가지 필수 질문을 한 데 섞어 탐색해보겠다.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 직업의 핵심요소는 무엇인가?'가 첫 번째 질문이다. 우리가 일에서 실제로 기대하는 것을 알아야 하는데, 거기에는 세 가지 본질적인 요소가 존재한다. 바로 의미와 몰입, 자유다. ...... 두 번째 질문은 이것이다. 새로운 직업을 모색할 경우, '어떤 방법으로 직업을 바꾸고 그 과정에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는가?' ... 지금 하는 일을 그만두고 새롭게 출발하는 것에 따르는 혼란과 두려움의 근원을 이해하는 것이 그 시작점이다. 그다음 단계는 자신에게 완벽한 직업이 단 하나뿐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버리고 '여러 개의 자아', 즉 우리의 인성을 이루는 여러 측면에 적합한 직업의 범위를 찾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직업 변화의 표준 모델과 정반대로 해보는 것이다. 꼼꼼하고 조심스럽게 계획을 세운 후 행동하는 대신, 먼저 행동을 개시한다. 자기 내면의 다양한 자아를 끄집어내 실제로 실험해보는 것이다.



이 책은 새로운 직업을 선택한다면 직업을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직업을 선택해야 할까?라는 두 가지 질문이 던진다. 그리고 저자는 그 답으로 직업 선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정리하면 직업에서 성취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일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고, 몰입할 수 있고, 자유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맞는 직업을 찾기 위해서는 실제 직업을 탐색해 보아야 한다는 것.


이 책에서 말하는 일에서의 의미는 무엇을 의미할까? 몰입과 자유는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지만 의미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다. 이 책은 의미에 대해서 다섯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는 '돈'을 버는 것, 둘째는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 셋째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는 것, 넷째는 '열정'을 따르는 것, 다섯째는 '재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일에 대한 의미는 사람마다 다르다. 돈을 중요시 하는지, 사회적 지위를 원하는지, 세상에 기여하기를 원하는지 깊이 자기를 들여다 봐야 한다. 


의미, 몰입, 자유가 있는 일은 찾았다면 자신에게 맞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근본적 안식기 갖기', '가지치기 프로젝트', '대화 리서치' 등을 이야기한다. 풀어 이야기 하면 현재 직장을 그만두고 본격적인 직업을 경험해보는 방법, 현재의 직업과 새로운 직업을 병행해보는 방법, 현재 직업의 경계를 넘는 사람과 이야기 해보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자신에게 맞는 일이 무엇인지 찾기는 쉽지 않다. 일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일, 몰입할 수 있는 일, 자유를 찾을 수 있는 일은 스스로에게 질문하며 답을 구해야 하는 일이다. 또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았다면 꾸준히 탐색하며 만들어가며 도전해 봐야만 그 끝을 알 수 있다.


막막하고 힘든 과정일 수 있지만 더 미룬다면 나중에 더 큰 후회를 하게 될지도 모른다. 혹시 아는가. 어느 순간 기분 좋은 아침이 짠~하고 나타날지. 


"천직은 성취감(의미, 몰입, 자유)을 주는 직업일 뿐 아니라, 매일 아침 일어나야 할 이유가 되는 명확한 목표나 목적이 들어 있는 직업이다."



반응형